1. 실패에 대한 지원자의 견해를 명확하게 수립하고 실패의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어야 한다.
① 실패를 통해 더욱 성장할 수 있는 지원자
- 실패 후 좌절보다 극복의지가 있는 지원자
- 실패가 ‘배움을 얻을 수 있는 기회’라는 인식
② 실패 원인은 인성보다 기반역량 부족으로!
- 인성은 후천적 노력으로 극복 불가
- 기반역량은 노력을 통해 극복 가능(직무와 무관한 기반역량을 고려)br - 본인의 큰 잘못보다 오해와 외부적 요소를 고려
2. 실패 경험(상황/역할, 생각/행동, 결과)은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.
① 제시한 키워드 미흡으로 실패한 경험을 요약
② 직무와 관련 없는 경험을 고려
* 직무와 관련된 경험을 실패할 경우에는 반드시 완벽한 극복 노력을 뒤에 강조할 수 있어야 한다
③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었던 경험은 지양
④ 실패 경험 자체는 최소화
*이후 극복 노력 중심으로 강조해야 한다
⑤ 활용 가능한 관련 경험 예시
-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, 의도하지 않은 외부적 요소에 의해 좋지 않은 결과를 얻었던 경험
- 팀원 모두 열심히 하였으나 오해 때문에 팀원과 함께 계획한 바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경험
- 국가 고시 등 자격증 취득 실패 등
*국가 고시 등 자격증 취득 실패 경험은 우선순위 경험은 아니지만 타 소재가 없을 시 선택할 수 있다. 이 외 다이어트나 연애 등 지극히 개인적인 소재는 피하도록 하자
3. 실패 이후 실패의 원인 분석과 극복 노력 중심으로 강조할 수 있어야 한다
① 실패를 바라보는 지원자의 시각을 재 강조
② 실패 원인에 대한 구체적 분석 노력
③ 원인에 따른 극복 노력을 행동 중심으로 강조
4. 실패 이후 실패의 원인 분석과 극복 노력 중심으로 강조할 수 있어야 한다
① 극복 노력의 결과 제시
- 최초 실패했던 목표보다 낮은 단계의 성과를 제시
*최초 목표 수준 성과를 달성했을 경우, 이는 성공 경험이 된다
- 극복노력은 ing 형태로 강조
*지금도 부족한 부분을 극복하기 위한 계속 노력하고 있다는 의미를 제시
② 실패를 통해 얻은 교훈
- 실패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무엇이고, 실패를 통해서 더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는 모습 강조
③ 키워드의 입사 후 활용도 강조
입사 후 다양한 실패를 경험할 수 있지만 과거 본인이 실패를 통해 더욱 성장한 것처럼, 이러한 노력과 의지를 입사 후에도 이어가겠다는 다짐을 강조